2022의 게시물 표시

부두 인형 (Voodoo Doll)

이미지
Voodoo Doll 블리자드에서 만든 카드 게임 하스스톤에서의 '부두 인형'.  하스스톤은 로아/브원삼디 등 부두교의 개념을 게임 내에 성공적으로 차용하고 있고, 부두인형도 동일한 사례이다.   Voodoo Doll 당신이 영화나 드라마 혹은 만화나 게임에서 한 번은 들었음직한 '부두 인형'이란 말은, 곰탕이나 붕어빵, 핫도그에 곰과 붕어, 개가 없는 것처럼 부두교에는 존재하지 않는 말이다.  결코 귀여울 수 없는 조악한 모양의 인형에 대상이 되는 사람의 손톱이나 머리카락 등의 유실물을 넣어 만든 후 바늘로 찌르면 대상에게 고통과 불행을 안겨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이 인형은 그 유래를 부두교 (루이지애나든  본고장인 하이티든) 어디에서도 찾기 어렵다. 오히려 주술사가 대상의 이미지나 모티브를 다른 사물에 부여한 후 기도를 하거나, 불로 태우거나, 화살을 쏴 저주를 내리는 주술적인 행위 혹은 그 대상물은 동아시아/유럽/아프리카 많은 나라의 전통에서 찾아 볼 수 있으나, 정작 '부두교'에는 찾아볼 수 없다는 게 함정이다. 미국의 뉴올리언즈 등지에서는 부두인형과 함께 흰 바늘(= 행운), 검은 바늘(= 저주)을 동봉하여 판다고도 하고, 사르코지 대통령을 본 딴 부두인형의 판매가 법원의 판단을 받는 일이 있으면서 유명세를 탄 적도 있는 이 부두 인형은 1930~40년대의 미국의 소설과 영화에서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8/oct/29/sarkozy-voodoo-france 사르코지 대통령의 얼굴을 그려 넣고 판매된 부두 인형. 사르코지는 법원에 판매 불가를 신청했고, 법원은 판매 불가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판매 시 경고 문구를 삽입할 것을 명령했다. 원더키드가 날아다닐 것 같았던 21세기에도 이런 재밌는 일이 벌어진다. 마치 오리엔탈리즘의 다른 버전처럼, 서양의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 무섭고 사악한 무엇인가는 악한 부두교에서 왔을 ...

(7)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말러 해머 (Mahler Hammer)

이미지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Mahler Hammer (Gustav Mahler 1860 - 1911, 앉은 자세가 불편해 보인다면 니 기분 탓 만은 아닙니다.) 대한민국 가요 프로그램 기준 3분 30초, 대개의 경우 4~5분 정도의 플레잉 타임을 보이는 요즘의 노래들도 곡의 시작부터 끝까지는 다 듣는 경우가 점점 적어지고 있는데, 1시간이 넘는 교향곡의 전체를 다 듣는 것은 어찌 보면 사치에 가깝습니다. 음악이 10초~15초 정도의 짧은 클립으로도 많이 소비되는 요즘, 한 시간에 가까운 교향곡 전체를 듣기 위해서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당신에게 시간이 많다면(!) 보통의 경우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주욱 듣다 보면 한 편의 영화처럼 느껴지는 듯한 교향곡 전체를 들어보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빠름-느림-빠름 (보통은 18세기의 교향곡이 이렇구요) 혹은 빠름-느림-빠름-빠름 (억지로 박자 개념을 맞추다 보니 이렇게 쓰긴 했지만, '경쾌한 오프닝 - 셋업 - 춤곡 - 장대한 마무리' 정도가 더 맞을 것 같네요.)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지루할 틈 없이 재밌는 스토리 등을 느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네, 반은 농담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큰 맘 먹고 산 두꺼운 양장의 책이 몇 년째 책상 위에서 모니터만 받치고 있거나 출출한 밤에 뜨거운 라면 냄비 받침으로 더 자주 활용되듯, 교향곡 역시 다른 활용이 언제나 가능해서, 방 밖의 엄마에게는 음악 틀고 공부하는 척하면서 이어폰 끼고 게임하고 싶을 때 안정적인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확보하는데는 아주 그만 입니다. (당연하지만, 부모님께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공부를 한다는 사전적인 체험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예기치 않게 방문이 열릴 때 빠르게 alt+tab 또는 alt+F4를 누를 수 있는 스킬은 오롯이 당신 몫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구스타프 말러라는 양반이 작곡한 교향곡들은 이 외에도 아주 요긴하게 쓸 모 있을 ...

Human Stain, Philip Roth

이미지
  (동명의 영화 주인공인 Anthony Hopkins 보다 저자 자신이 Coleman Silk와 더 닮아 보이는 건 나만 그런가?) 1. 농담 소설의 시작부터 Spook라는 단어의 등장과 함께 괜찮았던 주인공의 인생이 쇠락하는 모습이 밀란 쿤데라의 "농담"에서 주인공 루드빅이 메모지에 남긴 농담으로 인해 나락으로 가던 것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했고, 후반부에 실제 밀란 쿤데라의 이름이 소설 내에서 여러 번 언급되다 보니, 이거 뭔가 있겠구나 싶었다.  소설을 모두 읽은 후 두 작가의 이름을 붙여서 검색을 해 보니 첫번째로 검색된 것이 바로,  http://www.kundera.de/english/Info-Point/Interview_Roth/interview_roth.html 필립 로스가 밀란 쿤데라를 인터뷰한 내용이었다. 인터뷰도  전체적으로 아주 쌈박한데, 그 첫 대화만 인용하면, PR: Do you think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is coming soon? MK: That depends on what you mean by the word "soon." PR: Tomorrow or the day after. MK: The feeling that the world is rushing to ruin is an ancient one. PR: So then we have nothing to worry about. 만나자 마자 물어본 첫 질문이 "세상이 곧 망할 것으로 생각하세요?".  거 참 재밌는 양반들이 아닐 수 없다. 2. 안쏘니 홉킨스 소설의 화자 (보통은 작가 자신으로 해석되는) 네이썬이 묘사한 주인공 콜먼 실크의 모습은 이렇다. -- 유태인치고는 코가 작은 편이라 턱 쪽에 무게감이 실리는 얼굴이었고, 사람들이 백인으로 착각하는 피부색이 옅은 흑인에게서 느낄 수 있는 살짝 모호한 분위기의 누르스름한 피부에 머리가 곱슬인 유태인이었다 -- 아래는 같은 제목의 영화 중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