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글라스 Whisky Glass

이미지
  Whisky glass (새해도 밝았으니 당신의 인생에 건배. 디카프리오 형님이 들고 있는 잔은 Coupe glass, 샴페인이나 칵테일에 주로 사용하는 잔이다. 어디 파티 같은 데 가서 저런 잔에 누가 술을 들고 오면 대부분 샴페인일 거다. 아마. 여기서 다룰 위스키 글라스는 아니어서 일단 패스. 다만 형님의 파지법은 잘 보자. 뻐큐 손가락과 넷째 손가락 사이에 스템을 끼고 엄지가 지지 역할을 하면서 검지는 너님을 가리키는 듯 멋만 부리고 있다. 필요하신 분은 참고하시길) 보통, 바에서 술을 주문을 하면 그 술에 맞는 잔에 알아서 내어주시는 덕에 그 술이 담겨진 잔이 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호기심 많은 손님이라면 잔 이름을 따로 물어 볼 수도 있겠지만, 처음 위스키를 접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위스키 맛도 잘 모르겠는데 잔 이름까지 신경 쓰기가 쉽지 많은 않은 일이다. 마트나 다른 경로로 위스키를 사서 마시는 사람들은 어떤 잔에 어떻게 먹어야 할 지 몰라서 막막한 적도 있을 텐데, 그래서 그런지 요즘 프로모션을 통해 나오는 위스키들은 위스키 잔을 하나씩 껴서 주기도 하더라. 잔의 종류나 이름 따위 알아서 어디에 써 먹겠냐 하겠지만, 뭐 알아둬서 또 나쁠 것도 없다. 또한 잔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당신에게 이름을 알려주지 않은 음료가 당신의 손 안에 들어왔을 때 음료가 담긴 잔만으로도 어떤 음료일 지 유추해 볼 수도 있다. 지금부터 당신의 손 안, 영롱한 황금색 액체를 담고 있는 그 친구들에 대해 정리해 보자. 1. Copita 첫번째로 얘기할 잔은 Copita다. Spanish에서 온 말인 Copita는 'Copa'+'ita', 한국말로는 '컵 혹은 글라스'의 명사 (남미 축구 대회를 얘기할 때 쓰는 Copa Americana의 그 copa다) + '작은' 이란 뜻의 접미사여서, 뭐 작은 잔이란 말이다. 보통은 일반 와인 잔과 비슷하게 생겨서 그것보다는 작은 잔이다. (요로코롬 와

캐롤 뭐 듣지?

이미지
  캐롤 뭐 듣지? 이미 연말은 지났고, 단 며칠 사이에 캐롤 듣기의 효용이 이미 바닥에 떨어졌지만, 원래 이 블로그는 시의성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 봐도 없으며, 또 생일이란 건  매년 돌아온다는 묘한 점이 있는데 이건 예수님 생일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언젠가는 누군가에게 즐거움이 되는 캐롤 플레이리스트가 되길 바라면서 일단 올해 캐롤은 뭘 들을 지 한 번 시작해 보자. ... 시작하려고 했더니 튀어나오는 감상을 먼저 말하자면, Youtube가 생활을 점령하기 전까지는, 매년 11월이면 그 동안 모아두었던 크리스마스 캐롤들을 폴더에서 꺼내고, 그 해 새롭게 추가되는 캐롤들을 추려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고, 파일이름에 연도를 붙여 준비했다가 12월 1일 아침부터 듣던 재미가 있었다. 결혼을 하고 가족이 생기고 구성원이 점점 늘어가면, 또 그에 맞춰 준비하고 같이 들으며 즐거워하는 재미가 덧붙었었다. 지금은 그냥 유투브를 열고 돋보기를 누른 후 크리스마스 캐롤 플레이리스트를 검색하면 수 많은 리스트를 볼 수 있고, 그 중의 대부분은 보통 크게 실패하지 않고 무난하게 들을 수 있다. 장르 구분도 나름 잘 되어 있고, 뭐 딱히 흠 잡을 만한 것도 없다. 듣다가 듣기 싫으면 바로 다른 것으로 갈아타도 된다. 남들이 만들어 놓은 거 듣기 싫다면, 돋보기에 Christmas + Bing Crosby나 Dean Martin을 검색하면 끝없는 추천을 만들어 주고, 거기부터 시작해서 알고리즘이 이끄는 대로 찾아가도 짧은 시간이면 한 달 동안 들을 캐롤을 모을 수 있다.   ..... 옛날에 하던 재미가 없어졌다고 불평하고 싶진 않다. 그냥 사는 게 그런 거다. 아래의 플레이리스트도 유툽에서 만든 주제에 불평은 무슨.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c2I9MuxtJtb_5TtTpjUdhgWj3bT_8Etb "Otario de Noël",  Saint-Saëns -  Ramón Vargas     매년 듣던 Ramon Varga

부두 인형 (Voodoo Doll)

이미지
Voodoo Doll 블리자드에서 만든 카드 게임 하스스톤에서의 '부두 인형'.  하스스톤은 로아/브원삼디 등 부두교의 개념을 게임 내에 성공적으로 차용하고 있고, 부두인형도 동일한 사례이다.   Voodoo Doll 당신이 영화나 드라마 혹은 만화나 게임에서 한 번은 들었음직한 '부두 인형'이란 말은, 곰탕이나 붕어빵, 핫도그에 곰과 붕어, 개가 없는 것처럼 부두교에는 존재하지 않는 말이다.  결코 귀여울 수 없는 조악한 모양의 인형에 대상이 되는 사람의 손톱이나 머리카락 등의 유실물을 넣어 만든 후 바늘로 찌르면 대상에게 고통과 불행을 안겨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이 인형은 그 유래를 부두교 (루이지애나든  본고장인 하이티든) 어디에서도 찾기 어렵다. 오히려 주술사가 대상의 이미지나 모티브를 다른 사물에 부여한 후 기도를 하거나, 불로 태우거나, 화살을 쏴 저주를 내리는 주술적인 행위 혹은 그 대상물은 동아시아/유럽/아프리카 많은 나라의 전통에서 찾아 볼 수 있으나, 정작 '부두교'에는 찾아볼 수 없다는 게 함정이다. 미국의 뉴올리언즈 등지에서는 부두인형과 함께 흰 바늘(= 행운), 검은 바늘(= 저주)을 동봉하여 판다고도 하고, 사르코지 대통령을 본 딴 부두인형의 판매가 법원의 판단을 받는 일이 있으면서 유명세를 탄 적도 있는 이 부두 인형은 1930~40년대의 미국의 소설과 영화에서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8/oct/29/sarkozy-voodoo-france 사르코지 대통령의 얼굴을 그려 넣고 판매된 부두 인형. 사르코지는 법원에 판매 불가를 신청했고, 법원은 판매 불가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판매 시 경고 문구를 삽입할 것을 명령했다. 원더키드가 날아다닐 것 같았던 21세기에도 이런 재밌는 일이 벌어진다. 마치 오리엔탈리즘의 다른 버전처럼, 서양의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 무섭고 사악한 무엇인가는 악한 부두교에서 왔을 것으로 간단히 연결

(7)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말러 해머 (Mahler Hammer)

이미지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Mahler Hammer (Gustav Mahler 1860 - 1911, 앉은 자세가 불편해 보인다면 니 기분 탓 만은 아닙니다.) 대한민국 가요 프로그램 기준 3분 30초, 대개의 경우 4~5분 정도의 플레잉 타임을 보이는 요즘의 노래들도 곡의 시작부터 끝까지는 다 듣는 경우가 점점 적어지고 있는데, 1시간이 넘는 교향곡의 전체를 다 듣는 것은 어찌 보면 사치에 가깝습니다. 음악이 10초~15초 정도의 짧은 클립으로도 많이 소비되는 요즘, 한 시간에 가까운 교향곡 전체를 듣기 위해서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당신에게 시간이 많다면(!) 보통의 경우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주욱 듣다 보면 한 편의 영화처럼 느껴지는 듯한 교향곡 전체를 들어보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빠름-느림-빠름 (보통은 18세기의 교향곡이 이렇구요) 혹은 빠름-느림-빠름-빠름 (억지로 박자 개념을 맞추다 보니 이렇게 쓰긴 했지만, '경쾌한 오프닝 - 셋업 - 춤곡 - 장대한 마무리' 정도가 더 맞을 것 같네요.)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지루할 틈 없이 재밌는 스토리 등을 느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네, 반은 농담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큰 맘 먹고 산 두꺼운 양장의 책이 몇 년째 책상 위에서 모니터만 받치고 있거나 출출한 밤에 뜨거운 라면 냄비 받침으로 더 자주 활용되듯, 교향곡 역시 다른 활용이 언제나 가능해서, 방 밖의 엄마에게는 음악 틀고 공부하는 척하면서 이어폰 끼고 게임하고 싶을 때 안정적인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확보하는데는 아주 그만 입니다. (당연하지만, 부모님께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공부를 한다는 사전적인 체험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예기치 않게 방문이 열릴 때 빠르게 alt+tab 또는 alt+F4를 누를 수 있는 스킬은 오롯이 당신 몫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구스타프 말러라는 양반이 작곡한 교향곡들은 이 외에도 아주 요긴하게 쓸 모 있을 때

Human Stain, Philip Roth

이미지
  (동명의 영화 주인공인 Anthony Hopkins 보다 저자 자신이 Coleman Silk와 더 닮아 보이는 건 나만 그런가?) 1. 농담 소설의 시작부터 Spook라는 단어의 등장과 함께 괜찮았던 주인공의 인생이 쇠락하는 모습이 밀란 쿤데라의 "농담"에서 주인공 루드빅이 메모지에 남긴 농담으로 인해 나락으로 가던 것과 많이 닮았다고 생각했고, 후반부에 실제 밀란 쿤데라의 이름이 소설 내에서 여러 번 언급되다 보니, 이거 뭔가 있겠구나 싶었다.  소설을 모두 읽은 후 두 작가의 이름을 붙여서 검색을 해 보니 첫번째로 검색된 것이 바로,  http://www.kundera.de/english/Info-Point/Interview_Roth/interview_roth.html 필립 로스가 밀란 쿤데라를 인터뷰한 내용이었다. 인터뷰도  전체적으로 아주 쌈박한데, 그 첫 대화만 인용하면, PR: Do you think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is coming soon? MK: That depends on what you mean by the word "soon." PR: Tomorrow or the day after. MK: The feeling that the world is rushing to ruin is an ancient one. PR: So then we have nothing to worry about. 만나자 마자 물어본 첫 질문이 "세상이 곧 망할 것으로 생각하세요?".  거 참 재밌는 양반들이 아닐 수 없다. 2. 안쏘니 홉킨스 소설의 화자 (보통은 작가 자신으로 해석되는) 네이썬이 묘사한 주인공 콜먼 실크의 모습은 이렇다. -- 유태인치고는 코가 작은 편이라 턱 쪽에 무게감이 실리는 얼굴이었고, 사람들이 백인으로 착각하는 피부색이 옅은 흑인에게서 느낄 수 있는 살짝 모호한 분위기의 누르스름한 피부에 머리가 곱슬인 유태인이었다 -- 아래는 같은 제목의 영화 중 한

2016 부고 리스트

이미지
코에이사에서 20여년 전 (정확히는 1989년) 출시한 삼국지2라는 게임에 흠뻑 빠진 적이 있었다.  이 글을 읽는 당신도 그러했었다면 좋겠다. 한참 좋아할 당시엔 적게는 서너 시간, 많게는 열 시간 이상 즐긴 플레이를 그냥 끝내기가 아쉬워서, 잠들기 직전에 데이터를 세이브하고는 컴퓨터가 나 대신 계속 게임을 하는 것을 이불 속에서 지켜본 적도 적지 않았다. 강성하게 키워 놓은 내 나라, 전투력 90이상의 무장과 사기와 훈련을 100으로 꽉 채운 내 병력이 중원을 제패하는 일은 내가 아닌 컴퓨터가 하더라도 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모니터가 보이는 곳에 편 이부자리 속에서 모니터를 바라보다가, 이런 화면이 나오면 '에이...'라는 말을 넘기게 이불을 뒤집어 썼었다. <천하 통일의 꿈은 물거품으로. > (정확한 데이터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컴퓨터에게 맡긴 통일의 역사는, 260년 쯤 이후엔 아무런 이유 없이 자연사하는 인물들이 늘어나면서 서기 290년 정도가 되면 게임 내에 새로운 무장이 더 이상 나오지 않고, 1 general / 1 province의 조건을 채우지 못한 흰색의 땅이 점차 늘어나면서 채워지지 않은 여백으로만 남기 일쑤였다. (그도 그럴 것이 삼국지 2에 저장된 인물 데이터는 고작 300여명이다보니 계속해서 인물들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에디터를 사용하면 사용할 수 있는 인물이 조금 더 늘어나고, 삼국지 2 이후에 버전에서는 등록된 무장 데이터가 더 늘었다고 하지만, 무한 루프로 무장이 생성되지는 않는다.) <'당신이 이 그림을 보았다면, 당신의 무장을 죽음을 맞이할 것입니다.' 게임 상의 연도가 260년이 넘어가면 이 그림, 숱하게 보게 된다. > 이제 설날까지 지나서 완전히 져버린 2016년은 나에게 저 '서기 290년' 같은 기분의 해였다. 현실에서 전투력 90 / 지력 90 / 매력 90

(6)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교고쿠 나츠히코 (1)

이미지
알아도 별 도움은 안 되지만, 가끔은 재밌는 것이 있지 ! (이번에 느낌표다!) 경극하언 (京極夏彦) - 1 <'나요. 경극하언.' 기모노에 오토바이 손꾸락 장갑. 일단 범상치 않다.> 아직 이 양반에 대한 나의 덕질이 끝나지 않은 상태이고, 작금 내 주위의 사태들을 봐서는 덕질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며, 살아 있는 사람을 숭앙하는 글을 쓰는 것도 내 성미에 안 맞는 것이긴 하지만, 이 양반에 대해선 뭔가 써 둬야 한다, 꼭 그래야 한다는 각오를 가지고, 나의 핵심목표는 올해 꼭 써야하는 것은 이것이다하고 정신을 차리고 나아가면, 우리의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것을 해낼 수 있다는 그러한 마음으로 써 보자. 당신네들, 추리 소설 좋아들 하시나?  이런 류의 질문에는 대충 "뭐, 옛날에는 좀 읽었지만 지금은 잘...."정도로 답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 하지만 너님이 추리소설을 잘 좋아하시던 그렇지 않으시던, 베이커가의 매부리코 뽕쟁이 셜록 홈즈와 그의 Elementary-Dear-Friends, 왓슨 정도야 알고 계시리라 확신한다. (사실 요 "Elementary, my dear Watson." 은 셜록이 지 친구를 살짝 깔보면서 뱉는 대사로 이제는 아무때나 쓰이는 경구가 될 만큼 유명하지만, 실제 소설에서 셜록이 이런 대사를 친 적이 없는 게 함정이다.) 셜록 홈즈 시리즈의 첫번째 소설인 주홍색 연구는 의사 양반인 왓슨이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부상으로 돌아와서 옛 친구를 찾아 가는 것부터 시작하는데, 시리즈의 처음부터 끝까지 소설의 화자이자, 사건을 바라보는 객체로 존재하는 이 두번째 주인공은 사실상 코난 도일 자신이다. 에딘버러에서 개업의를 하던 코난 도일은 장사가 안 되서 시간이 남아 돌자, 글 덕질을 시작하는데, 그 덕질의 결과물이 이름하여 <A study in Scarlet, 주홍색 연구>, 이 후 계속되는 글들이